莲花生

<사자의 서>라는 책의 저자로 유명한 파드마삼바바는 티벳 최초의 사원인 사미에 사원을 건설하였습니다.
자세히 보기

파드마삼바바(리엔화승)

중국어 :    莲花生大师

영 어 : Padmasambhava 

국적: 인도

파드마삼바바

티벳 여행을 하다 보면 가는 곳 마다 많이 듣는 이름이 “구루 린포체”라는 이름입니다. 왼손에 끝부분은 세 갈래로 되어있고, 중간 부분은 3개의 해골로 구성된 지팡이를 쥐고, 수염을 기른 탱화나 불상을 쉽게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보석처럼 귀한 스승”이라는 의미로서, 8세기에 티벳에 밀교를 전파한 인도의 수행자 파드마삼바바(莲花生)를 부르는 존칭으로써, 파드마삼바바는 “연꽃에서 태어난 존재”라는 의미의 이름입니다.

전설에 따르면 파드마삼바바는 8살 때 연꽃 위에서 인도에 있는 한 왕국의 왕에게 발견되어 왕자로 입양되었습니다. 왕국을 다스릴 높은 신분으로 자라났지만, 고통에 빠진 사람들을 도와주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티송데쩬의 불교장려

당시 티벳은 38대 임금인 티송데쩬 (赤松德赞)이 다스리던 시대로서, 티송데쩬은 국교를 불교로 선포하였습니다. 이미 100년 전에 송첸캄포 왕이 불교의 터전을 닦았지만, 불교는 왕과 몇몇 귀족들만 믿는 종교였고, 대부분의 귀족과 백성들은 토착 종교인 뵌교(苯教)에 더 가까웠습니다.

그런데 티송데첸이 국교로 불교를 선포하자, 뵌교 사제들과 그들의 엄호 세력인 귀족들로부터 반감을 사기 시작했고, 왕과 빈교 신도들 사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나빠졌습니다. 왕은 뵌교를 탄압하고, 뵌교 사재들은 몰래 왕을 저주하는 모임을 자주 가졌습니다.

 

티송데쩬은 티벳 최초의 사원인 사미에 사원을 건설하여 불교를 더욱 확장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인도로 사람을 파견하여 당시의 유명한 승려인 샨타라크쉬타를 모셔와 사원을 짓도록 하였습니다.

사원을 짓기 시작하였으나 뵌교 귀신들의 방해로 낮에 건축하면 밤에 무너지는 현상이 계속 발생하였습니다.

사미에 사원의 건설

그러자 샨타라크쉬타는 티송데젠에게 자기의 공덕으로는 귀신을 이길 수 없으니, 자기의 제자 가운데 귀신을 다스릴 줄 아는 파드마삼바바를 데리고 오기를 부탁하였습니다.

파드마삼바바가 티벳으로 들어오자 티송데쩬은 너무 기뻐서 많은 금을 가지고 라싸 근교에까지 마중 나갔지만, 파드마삼바바는 “나는 금을 찾으러 온 것이 아니다”라는 말과 함께 금을 먼지로 만들어버렸습니다. 그런 후 다시 모래를 한 줌 쥐고 주문을 외우자 다시 금이 되는 도술을 부렸습니다.

파드마삼바바는 스승인 샨탈크쉬타와 함께 사미에 사원으로 가서, 귀신을 물리치고 드디어 779년에 사원을 왕성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티송데쩬은 7명의 귀족 자제들을 최초의 승려로 사미에 사원에 두고, 불경을 연구하고, 당시 산스크리트어나 중국어로 된 불경을 티벳어로 번역하기해 티벳에 불교가 널리 퍼지도록 도왔습니다.

티벳 사자의 서

파드마삼바바는 티벳 이곳저곳의 산, 호수, 동굴, 바위, 사원 내부 등에 수행의 비법이나 예언을 기록한 경전들을 숨겨놓고, 대가 되면 축복받은 사람에 의해 발견될 것이라고 예언하였습니다.
그중 하나가 14세기에 티벳 북부지방의 동굴에서 처음 발굴되어, 티벳 일대의 국가에 전파되었고, 20세기 초 서양에 소개되어, “가장 차원 높은 정신과학”이라고 극찬을 받은 “티벳 사자의 서”라는 책입니다.

후에 어느 정도 불교가 안정되자, 파드마삼바바는 나찰의 나라로 가겠다고 선언합니다.
나찰은 사람을 잡아먹고, 지옥에서 죄수를 못살게 구는 못된 마귀들을 말하는 것으로, 이 나찰을 굴복시키지 않으면 인간은 모두 그들에게 잡아 먹히므로, 본인이 나찰의 나라로 가서 나찰을 굴복시키겠다고 말하고, 말을 타고 오색 무지개를 뿜으며 공중으로 사라졌습니다.

떠나면서 왕과 왕비, 신하들에게 마지막으로 가르침을 주었는데, “낮에는 관세음보살을, 밤에는 나를 스승으로 삼아 수행하라”고 말하고 떠났습니다.

닝마파의 시조

티벳의 귀신들을 마음대로 조정하는 파마드삼바바는 티벳의 국토를 수호해주는 수호신으로서, 티벳의 지도자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네팔, 부탄의 여러 곳에서도 파마드삼바바와 관련한 성지들이 있으며, 지금도 파마드삼바바의 서적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닝마파(寧瑪派) 수행자들이 모여 수행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티벳의 중요한 4개의 종파 중 가장 오래된 닝마파가 바로 파드마삼바바를 시조로 삼고 있는 종파입니다.